아들에게 2천만원 주면 증여세 얼마일까? 실제 계산법과 절세 전략

아들에게 2천만원 주면 증여세 얼마일까? 실제 계산법과 절세 전략

📌 핵심 요약

  • ✅ 아들에게 2천만원 증여 시 증여세는 0원입니다 (10년간 5천만원 공제)
  • ✅ 성년 자녀는 5천만원, 미성년 자녀는 2천만원까지 비과세
  • ✅ 10년 단위로 공제 한도가 리셋되어 재증여 가능

자녀에게 목돈을 증여하려는데 세금이 걱정되시죠? 다행히 2천만원은 증여세 걱정 없이 전달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성년 자녀에게는 10년간 5천만원까지 증여공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2천만원 증여 시 실제 납부할 증여세는 0원입니다. 대부분의 부모님들이 이 공제 한도를 활용해 계획적으로 자산을 이전하고 있습니다.

증여세 발생 주요 상황 Top 5

  • 공제 한도 초과: 10년간 누적 증여액이 5천만원을 넘는 경우 (가장 흔함)
  • 미성년 자녀 2천만원 초과: 만 19세 미만 자녀는 2천만원까지만 공제
  • 10년 내 재증여: 이전 증여일로부터 10년이 지나지 않은 추가 증여
  • 타인 명의 차용: 실질 증여자와 명의자가 다른 편법 증여
  • 현금 외 자산 증여: 부동산, 주식 등 평가액 산정이 필요한 경우

2천만원 증여세 계산 실제 5단계

  1. 자녀 나이 확인: 성년(만 19세 이상) 5천만원, 미성년 2천만원 공제 적용
  2. 10년 내 증여 이력 확인: 2015년 11월 이후 증여받은 금액 합산
  3. 증여재산가액 계산: 2천만원 + 과거 10년 증여액 = 총 증여액
  4. 과세표준 산출: 총 증여액 - 증여공제(5천만원) = 과세표준
  5. 세액 계산: 2천만원만 증여 시 과세표준 0원 → 증여세 0원
🧠 실전 팁: 증여 후 3개월 내 증여세 신고를 하면 3% 세액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세금이 0원이어도 신고하면 향후 증빙에 유리합니다.

증여 금액별 세금 계산표

증여 금액 과세표준 세율 예상 증여세
2천만원0원-0원
5천만원0원-0원
1억원5천만원10%500만원
2억원1억 5천만원10~20%2,000만원
3억원2억 5천만원10~20%4,000만원

증여세 절세 전략 & 주의사항

  • 10년 주기 활용: 10년마다 5천만원씩 분할 증여로 세금 0원 유지
  • 부부 각각 증여: 아버지 5천만원, 어머니 5천만원 별도 공제 적용
  • 증여 시점 기록: 정확한 날짜 기록으로 10년 주기 관리
  • 계좌이체 증빙 보관: 세무조사 대비 송금 내역과 증여계약서 작성
  • 현금 증여 우선: 부동산이나 주식보다 평가 분쟁 없는 현금 증여 권장

✅ 아들에게 2천만원 증여는 증여세 0원! 단, 10년 내 추가 증여 시 5천만원 한도를 기억하세요.

FAQ (자주 묻는 질문 15개)

Q1. 아들이 미성년자인데 2천만원 증여하면 세금 얼마인가요?
미성년 자녀는 10년간 2천만원까지 공제되므로 2천만원 증여 시 증여세는 0원입니다.
Q2. 작년에 3천만원 줬는데 올해 2천만원 더 주면 어떻게 되나요?
10년간 누적 5천만원이므로 증여세는 여전히 0원입니다. 성년 자녀 기준입니다.
Q3. 증여세 신고는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증여받은 날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신고해야 합니다.
Q4. 부모님 두 분이 각각 5천만원씩 줄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아버지 5천만원, 어머니 5천만원 각각 공제 적용됩니다.
Q5. 손자에게 증여하면 공제 한도가 얼마인가요?
조부모가 손자녀에게 증여 시 10년간 5천만원(미성년 2천만원) 공제입니다.
Q6. 증여세 0원이어도 신고해야 하나요?
의무는 아니지만, 향후 자금출처 증빙을 위해 신고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Q7. 현금 말고 주식으로 2천만원 증여하면 어떻게 계산하나요?
증여일 기준 종가로 평가하며, 2천만원 이하면 마찬가지로 증여세 0원입니다.
Q8. 10년이 지나면 다시 5천만원 공제받을 수 있나요?
네, 최초 증여일로부터 10년 후에는 공제 한도가 리셋됩니다.
Q9. 며느리나 사위에게 증여하면 공제가 있나요?
배우자의 직계존속으로부터 10년간 1천만원 공제가 적용됩니다.
Q10. 증여계약서는 꼭 작성해야 하나요?
법적 의무는 아니지만 증빙을 위해 작성하고 공증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Q11. 해외 거주 자녀에게 증여하면 세금이 다른가요?
수증자가 비거주자여도 국내 재산 증여 시 동일한 공제와 세율이 적용됩니다.
Q12. 증여 후 자녀가 바로 사용해도 되나요?
네, 증여 후에는 자녀의 재산이므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Q13. 분할 증여가 절세에 유리한가요?
10년 주기로 공제 한도 내에서 분할 증여하면 증여세를 크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
Q14. 증여세 신고는 어디서 하나요?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방문하거나 홈택스에서 온라인 신고 가능합니다.
Q15. 차용증을 쓰고 갚지 않으면 증여로 보나요?
실질적으로 갚지 않으면 증여로 간주되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작성자 정보

이름: 조만식 세무회계사무소

직책: 대표

소속: 조만식 세무법인

소개: 15년간 개인 및 법인 세무 상담을 전문으로 하며, 특히 증여·상속세 절세 전략 수립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세청 37년 근무 

주소 : 대전 유성구 주소 동서대로 679, 401호 / 연락처 : 010-3466-2723

전문 분야: 증여세, 상속세, 부동산 세무, 절세 플랜, 세무조사 대응

자격: 세무사

작성일: 2025년 11월 6일
수정일: 2025년 11월 6일

댓글 쓰기